-
반응형
엊그제 의성에 산불이 제가 살고있는 지역인 영덕까지 번져왔는데요,;; 정말 순식간에 불이 번져서 도망가다가 사망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급박한 상황에 어디로 도망을 가야 될지.. 차가 없는 사람들은 어떻게 대피해야될지 막막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를 대비하기 위한 대처 요령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1. 산불 발생 전 대비
- 산불 위험 지역 파악: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이 산불 위험 지역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산불 발생 시 대피 경로와 대피소를 미리 알아두세요.
- 연료원 제거: 집 주변에 나뭇가지, 낙엽 등 불씨가 옮겨질 수 있는 연료가 쌓이지 않도록 청소하고, 나무나 덤불을 일정 거리 두고 배치합니다.
- 소화기 준비: 집 안팎에 소화기를 비치하고, 사용법을 익혀두세요. 또한 물이 풍부한 지역에 거주한다면, 물탱크나 정수기 등도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긴급 키트 준비: 산불 발생 시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긴급 대피 키트를 준비합니다. 이 키트에는 중요 문서, 의약품, 손전등, 생수, 식량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2. 산불 발생 시 대처 요령
- 라디오, TV, 모바일 기기로 정보 확인: 산불 발생 시 지역 방송이나 재난 문자 서비스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합니다.
- 대피 경로 확보: 대피 시 산불의 확산 방향을 확인하고, 바람을 피해 낮은 지역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또한, 인적이 드문 도로보다는 넓은 도로나 고속도로로 대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차량 이용 시 주의: 차량을 이용해 대피할 경우, 산불 연기가 차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창문을 닫고, 에어컨을 외기 순환 모드로 설정합니다.
- 불길이 가까워지면 실내 대피: 산불이 집에 가까워질 경우, 창문을 닫고, 문을 잠근 후 가능한 한 낮은 곳에서 대피 준비를 합니다. 그리고 담배나 성냥 등 불씨를 피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호흡기 보호: 산불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는 매우 위험합니다. 호흡기가 어려울 경우, 젖은 천이나 수건을 입과 코에 대고 숨을 쉬세요.
- 불길이 지나간 후에도 조심: 산불이 지나갔더라도 불씨나 재가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불씨가 꺼졌는지 확인할 때까지 안전을 유지합니다.
3. 산불 예방을 위한 일상적인 노력
- 흡연 시 주의: 흡연자는 담배를 피운 후 불씨를 확실하게 끄고 버리도록 해야 합니다.
- 불꽃놀이 자제: 건조한 날씨에 불꽃놀이를 자제하고, 불씨가 날릴 수 있는 행동은 삼가세요.
- 산속에서 불 피우지 않기: 산속에서 캠핑이나 소풍을 갈 때, 불을 피울 경우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 피우고 불을 완전히 끄고 떠나야 합니다.
4. 산불 이후 대처
- 상황 파악 및 지원 요청: 대피 후에는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지역 정부나 소방서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주택 복구 작업 시 주의: 집으로 돌아간 후 불꽃이나 연기가 남아 있는지 철저히 확인하고, 복구 작업 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산불은 빠르게 확산되어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철저히 대비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 경험상 필요한게 산불이 크게 나면 손전등이 필수로 필요하다고 느꼈고 (밤중에는 집이 안보이기 때문에) 여분의 건전지를 사둘 필요성을 느꼈어요. 인터넷에 방독면도 팔고 있긴한데 그렇게 까지 성능이 좋지 않긴하지만 사둬도 좋을 것 같네요. 또 라디오가 있으면 정전시에 대피 방송을 들을 수 있는 것 같아요(저히 집은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아래는 방독면 혹시 필요하신분들을 위해 사이트 적어뒀습니다.
도부 화재마스크 화재대피마스크 방독면 화생방 CM-1 : 공구숲
도부 화재마스크 화재대피마스크 방독면 화생방 CM-1 : 공구숲
[공구숲] 정품공구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구숲
smartstore.naver.com
반응형'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 오는 날 가기 좋은 실내 놀이터 BEST 5 | 날씨 걱정 없는 아이와 나들이 장소 (0) 2025.05.04 어린이날 가볼만한 곳 추천 BEST 5 | 서울·경기 근교 가족 나들이 코스 총정리 (0) 2025.05.04 불안에 좋은 음식, 불안을 줄이는 법, 호흡법, 불안은 어디에서 올까? (0) 2025.04.29 재난 상황별 대비 물품 총정리!. 홍수, 산불, 폭염, 지진 시 필요한 물품 (0) 2025.03.29 봄철 캠핑 필수 아이템 & 추천 장소, 구매사이트 (0) 2025.03.26 봄 제철 음식으로 건강한 식탁을 준비하세요! (0) 2025.03.25 2025년 이자 높은 통장 추천 (0) 2025.03.24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 사용법 및 필수 단축키 정리, 기본 강좌 추천 (0) 2025.03.23